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은 요르단에서 개최되었으며, 8개 팀이 참가하여 우승팀을 가리는 대회였다. 일본이 결승에서 오스트레일리아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중국과 태국은 각각 3위와 4위를 기록했다. 이 대회 상위 5개 팀인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중국, 태국, 대한민국은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8년 요르단 - 요르단의 시리아 내전 개입
요르단은 시리아 내전 발발 후 ISIL의 부상에 대응하여 테러 거점 파괴, 테러리스트 활동 억제, 시리아 반군 지원, 외국 군대 활동 지원, 마약 밀매 조직 공습 등 다양한 군사적 개입을 했다. - 2018년 아시아 선수권 대회 - 2018년 아시아 남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2018년 아시아 남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는 대한민국 수원에서 개최되었으며, 카타르가 우승하고 대한민국은 3위를 기록했다. -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은 2017년 4월에 24개국이 참가하여 4개 조로 진행되었으며, 요르단은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출전하고 각 조 1위 팀과 A조 2위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선수 명단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선수 명단은 대회 참가국의 선수 정보, 클럽 소속, 리그 정보를 제공하는 문서로, 중국, 태국, 필리핀, 요르단, 오스트레일리아, 대한민국, 베트남, 일본의 선수 명단과 클럽 국적별, 연맹별 분포, 국내 리그 소속 선수 정보를 상세히 담고 있습니다.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AFC 여자 아시안컵 |
연도 | 2018년 |
다른 명칭 | كأس آسيا لكرة القدم للسيدات 2018 (아랍어) |
![]() | |
기간 | 2018년 4월 6일 – 2018년 4월 20일 |
개최국 | 요르단 |
개최 도시 | 암만 |
참가 팀 수 | 8 |
참가 연맹 수 | 1 |
경기장 수 | 2 |
도시 수 | 1 |
총 경기 수 | 17 |
총 득점 | 66 |
총 관중 수 | 31537 |
이전 대회 | 2014년 AFC 여자 아시안컵 |
다음 대회 | 2022년 AFC 여자 아시안컵 |
결과 | |
우승 | (2회 우승) |
최우수 선수 | 이와부치 마나 |
득점왕 | 리잉 (7골) |
2. 참가 팀
개최국 요르단과 2014년 AFC 여자 아시안컵 상위 3개 팀(일본, 오스트레일리아, 중국)은 본선에 자동으로 진출했다. 나머지 4개 팀은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을 통해 선발되었다.
2. 1. 본선 진출 팀
다음 8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9]팀 | 진출 자격 | 출전 횟수 | 역대 최고 성적 | FIFA 여자 랭킹 대회 시작 시점[10] |
---|---|---|---|---|
요르단 | 개최국 | 2회 | 조별 리그 (2014) | 51 |
일본 | 2014 우승 팀 | 16회 | 우승 (2014) | 11 |
오스트레일리아 | 2014 준우승 팀 | 6회 | 우승 (2010) | 6 |
중국 | 2014 3위 | 14회 | 우승 (1986,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6) | 17 |
필리핀 | A조 준우승 팀[11] | 9회 | 조별 리그 (1981, 1983,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 72 |
대한민국 | B조 우승 팀 | 12회 | 3위 (2003) | 16 |
태국 | C조 우승 팀 | 16회 | 우승 (1983) | 30 |
베트남 | D조 우승 팀 | 8회 | 조별 리그 (1999, 2001, 2003, 2006, 2008, 2010, 2014) | 35 |
2. 2. 예선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은 본선에 진출할 4개 팀을 결정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2014년 AFC 여자 아시안컵 상위 3개 팀(일본, 오스트레일리아, 중국)과 개최국 요르단은 본선에 자동 진출했다.[7]예선에는 총 21개 팀이 참가하여 4개 조로 나뉘어 경쟁했다.[32][33] 예선 참가 신청을 위해서는 각국 축구 협회가 "여자 축구 위원회 설치", "4개 팀 이상, 3개월 이상 기간의 여자 축구 리그 운영", "AFC 지도자 라이선스 B급 이상 여성 코치 최소 1명 및 여성 의료 스태프 최소 1명 보유" 등의 조건을 충족해야 했다.[34]
예선 경기는 2017년 4월 3일부터 4월 12일까지 FIFA 국제 경기일에 맞추어 진행되었다.[8][31] (원래는 4월 11일까지 예정이었으나, A조 경기가 12일까지 편성되었다.[30])
예선 조 추첨은 2017년 1월 21일 요르단 암만에서 열렸다.[6][37] 시드 배정은 2014년 AFC 여자 아시안컵 성적을 기준으로 이루어졌다.[35] 개최국인 요르단은 본선 자동 진출권을 확보했지만 예선에도 참가했다.[7][32][33] 만약 요르단이 예선 조에서 1위를 차지할 경우, 해당 조 2위 팀이 본선 진출권을 얻는 규정이 적용되었다.[33]
조 추첨 시드는 다음과 같이 배정되었다. (● 표시는 예선 개최국)[32][35]
포트 1 | |
---|---|
포트 2 | |
포트 3 |
포트 4 | |
---|---|
포트 5 (전 대회 불참) |
조 추첨은 각 포트에서 한 팀씩 뽑아 조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단, 7팀이 포함된 포트 5의 경우, 2팀은 A조에, 나머지 3팀은 B, C, D조에 1팀씩 배정하고, 남은 2팀은 포트 4에 합류시킨 뒤 포트 4 추첨을 진행했다.[35] 또한, 예선 개최국끼리 같은 조에 편성되지 않도록 하고, 정치적 상황을 고려하여 이란 및 시리아는 팔레스타인과 같은 조가 되지 않도록 조정했다.[35]
예선 결과, 다음 4개국이 각 조 상위 팀 자격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조별 리그에서 승점이 같은 팀들의 순위는 본선 조별 리그 순위 결정 방식과 동일한 규정에 따라 결정되었다.[38]
3. 경기장
이번 대회는 암만 시의 두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4. 시드 배정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본선 조 추첨은 2017년 12월 9일에 실시되었다. 시드 배정은 2014년 AFC 여자 아시안컵 성적을 기준으로 이루어졌다. 개최국 요르단은 자동으로 A1 자리에 배정되었다.[14]
최종 조 추첨은 2017년 12월 9일 사해 동쪽 해안에 위치한 킹 후세인 빈 탈랄 컨벤션 센터에서 진행되었다.[12] 8개의 본선 진출팀은 4팀씩 2개 조로 나뉘며,[13] 시드 배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5. 조별 리그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동유럽 서머 타임, UTC+3)을 따른다.[16]
각 조 상위 2개 팀은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과 대회 준결승전에 진출하며, 각 조 3위 팀은 5위 결정전에 진출한다.
5. 1. A조
- ---
'''중국''' 4 – 0 '''태국'''
- 날짜: 2018년 4월 6일 16:45 UTC+3
- 경기장: 암만 국제경기장, 암만
- 득점: 쑹돤 (56', 77'), 왕솽 (63'), 리잉 (67')
- 관중: 5,060
- 심판: 케이트 제이스위츠 (오스트레일리아)
- 리포트: [https://web.archive.org/web/20180407060642/http://stats.the-afc.com/match_report/12933 리포트] (보존됨)
- ---
'''요르단''' 1 – 2 '''필리핀'''
- 날짜: 2018년 4월 6일 20:00 UTC+3
- 경기장: 암만 국제경기장, 암만
- 득점: 즈바라흐 (15') / 카이르 (51' 자책골), 볼든 (76')
- 관중: 9,473
- 심판: 리향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리포트: [https://web.archive.org/web/20180407060640/http://stats.the-afc.com/match_report/12932 리포트] (보존됨)
- ---
'''필리핀''' 0 – 3 '''중국'''
- 날짜: 2018년 4월 9일 16:45 UTC+3
- 경기장: 킹 압둘라 2세 스타디움, 암만
- 득점: 리잉 (17', 57'), 마쥔 (31')
- 관중: 226
- 심판: 케이시 레이벨트 (오스트레일리아)
- 리포트: [https://web.archive.org/web/20180410000740/http://stats.the-afc.com/match_report/12934 리포트] (보존됨)
- ---
'''태국''' 6 – 1 '''요르단'''
- 날짜: 2018년 4월 9일 20:00 UTC+3
- 경기장: 킹 압둘라 2세 스타디움, 암만
- 득점: 나일드 (1', 69'), 타니깐 (6'), 실라완 (39'), 깐차나 (41'), 핏마이 (90') / 제브린 (43')
- 관중: 5,000
- 심판: 야마시타 요시미 (일본)
- 리포트: [https://web.archive.org/web/20180410000742/http://stats.the-afc.com/match_report/12935 리포트] (보존됨)
- ---
'''요르단''' 1 – 8 '''중국'''
- 날짜: 2018년 4월 12일 20:00 UTC+3
- 경기장: 암만 국제경기장, 암만
- 득점: 아부사바흐 (17') / 왕솽 (14', 53', 84'), 카이르 (41' 자책골), 쑹돤 (51'), 리잉 (60', 72' 페널티킥), 탕자이리 (86')
- 관중: 4,428
- 심판: 콩 티 둥 (베트남)
- 리포트: [https://web.archive.org/web/20180413101447/http://stats.the-afc.com/match_report/12936 리포트] (보존됨)
- ---
'''태국''' 3 – 1 '''필리핀'''
- 날짜: 2018년 4월 12일 20:00 UTC+3
- 경기장: 킹 압둘라 2세 스타디움, 암만
- 득점: 깐차나 (28' 페널티킥, 53'), 실라완 (62') / 셔그 (90+3')
- 관중: 512
- 심판: 오현정 (대한민국)
- 리포트: [https://web.archive.org/web/20180413101449/http://stats.the-afc.com/match_report/12937 리포트] (보존됨)
5. 2. B조
- ---
'''2018년 4월 6일'''
16:45 암만 국제경기장, 암만
중국 4 – 0 태국
- 득점: 쑹돤 56', 77', 왕솽 63', 리잉 67'
- 관중: 5,050
- 심판: 케이트 제이스위츠 (오스트레일리아)
- http://www.the-afc.com/competitions/afc-womens-asian-cup/matches/2017/972813 리포트
- ---
'''2018년 4월 6일'''
20:00 암만 국제경기장, 암만
요르단 1 – 2 필리핀
- 득점: 즈바라흐 15' (요르단) / 카이르 51' (자책골), 볼든 76' (필리핀)
- 관중: 9,473
- 심판: 리향옥 (북한)
- http://www.the-afc.com/competitions/afc-womens-asian-cup/matches/2017/972814 리포트
- ---
'''2018년 4월 9일'''
16:45 킹 압둘라 2세 스타디움, 암만
필리핀 0 – 3 중국
- 득점: 리잉 17', 57', 마쥔 31'
- 관중: 226
- 심판: 케이시 레이벨트 (오스트레일리아)
- http://www.the-afc.com/competitions/afc-womens-asian-cup/matches/2017/972815 리포트
- ---
'''2018년 4월 9일'''
20:00 킹 압둘라 2세 스타디움, 암만
태국 6 – 1 요르단
- 득점: 나일드 1', 69', 타니깐 7', 실라완 39', 깐차나 41', 핏마이 90' (태국) / 제브린 43' (요르단)
- 관중: 5,000
- 심판: 야마시타 요시미 (일본)
- http://www.the-afc.com/competitions/afc-womens-asian-cup/matches/2017/972816 리포트
- ---
'''2018년 4월 12일'''
20:00 암만 국제경기장, 암만
요르단 1 – 8 중국
- 득점: 아부사바흐 17' (요르단) / 왕솽 14', 53', 84', 카이르 41' (자책골), 쑹돤 51', 리잉 60', 72' (페널티킥), 탕자리 86' (중국)
- 관중: 정보 없음
- 심판: 꽁티증 (베트남)
- http://www.the-afc.com/competitions/afc-womens-asian-cup/matches/2017/972817 리포트
- ---
'''2018년 4월 12일'''
20:00 킹 압둘라 2세 스타디움, 암만
태국 3 – 1 필리핀
- 득점: 깐차나 28' (페널티킥), 53', 실라완 62' (태국) / 셔그 90+3' (필리핀)
- 관중: 정보 없음
- 심판: 오현정 (대한민국)
- http://www.the-afc.com/competitions/afc-womens-asian-cup/matches/2017/972818 리포트
6. 조 3위간 플레이오프 (5, 6위 결정전)
2018년 4월 16일 암만 국제경기장에서 열린 5위 결정전에서 대한민국이 필리핀을 상대로 5-0 대승을 거두었다. 이 승리로 대한민국은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경기는 현지 시간 20시에 시작되었으며, 418명의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의 케이시 레이벨트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대한민국의 장슬기가 전반 34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전반 추가 시간(45+3분)에는 이민아가 추가골을 기록하며 전반을 2-0으로 마쳤다. 후반 들어서도 대한민국의 공세는 계속되었다. 후반 11분(56분)에 임선주가 팀의 세 번째 골을 성공시켰고, 주장 조소현이 후반 21분(66분)과 후반 39분(84분, 페널티킥)에 연이어 득점하며 5-0 승리를 완성했다.
7. 결선 토너먼트
결선 토너먼트(녹아웃 스테이지)에서는 필요한 경우 연장전과 승부차기를 통해 승자를 결정한다. 단, 3위 결정전에서는 연장전 없이 바로 승부차기를 진행하여 승자를 가린다.[15]
7. 1. 준결승전
케네디 90+1′라띠깐 63′